본문바로가기 주요메뉴바로가기

편강, 폐질환자를 위한 50년 노력의 성과!

잇따른 학술 논문 등재로

과학성 인정

‘SCI급 국제학술지 JTCM 10월호(2016) 발표 / SCOPUS급 국제학술지 NPS 25호(2019) 발표’

편강탕 추출물(PGT)이 호흡기 질환과 폐섬유화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SCI급, SCOPUS급 국제학술지 등에 발표함으로써 한의학의 과학성을 인정받았습니다.

scroll

SCI급 국제학술지 JTCM 10월호, 2016

과학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청폐(淸肺)한약 편강탕

#JTCM    #국제학술지    #폐섬유화증완화    #편강한의원    #편강탕    #서효석원장    #JTCM    #국제학술지    #폐섬유화증완화    #편강한의원    #편강탕    #서효석원장   
close

편강탕 추출물, 대기 오염 물질로 인해 유발된
호흡기 염증성 객담의 과다분비 및 블레오마이신
(BLM) 유발성 폐섬유화증 완화

―――   SCI급 국제학술지 JTCM 10월호(2016) 발표

<연구팀 > 서효석 원장, 충남대 의과대학 이충재 교수, 삼육대 이현재 교수
SCI : SCI는 Science Citation Index의 약자로, SCI저널 등재여부는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았음을 증명

논문 다운로드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한 의미는?

편강탕 추출물(PGT)이 호흡기 질환과 폐섬유화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SCI급 국제학술지에 발표함으로써 그동안 비 과학적이라는 인식이 있었던 한의학의
과학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편강탕 추출물(PGT)이 대기오염물질로 인해 유발된 호흡기 염증성 객담의 과다분비와
블레오마이신(BLM) 유발성 폐섬유화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
습니다.

- 블레오마이신(BLM) : 폐손상이나 폐섬유화증을 유발하는 물질
- 이산화황 : 기침, 가래,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물질
- 편강탕 추출물(PGT) : 인동덩굴꽃, 맥문동, 사삼, 창이자, 권백, 숙지황 등 총 6가지

블레오마이신(BLM) 유발성
폐섬유화증에 편강탕(PGT)이
미치는 영향

연구팀은 흰쥐에게 폐섬유화증을 유발하기 위해 폐손상, 폐섬유화 유발물질인
블레오마이신(BLM)을 투여 후 편강탕(PGT)과 덱사메타손(스테로이드제제)을
각 그룹마다 다르게 투여해 완화 정도를 연구했습니다.

실험결과 블레오마이신(BLM) 투여로 폐에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생긴 그룹에
편강탕(PGT)을 구강 투여하자 폐섬유화증 정도가 완화됐습니다.
특히 편강탕(PGT)을 많이 투여한 그룹일수록 완화 정도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대기 오염물질로 유발된
호흡기 염증성 객담 과다 분비에
편강탕(PGT)이 미치는 영향

연구팀은 흰쥐에게 호흡기 염증을 유발하기 위해 이산화황에 3주간 노출시킨 후
편강탕(PGT)과 덱사메타손(스테로이드제제)을 각 그룹마다 다르게 투여해 객담 분비 완화
정도를 연구했습니다. 실험결과 이산화황에 노출시켜 호흡기 객담 분비가 증가한 그룹에
편강탕(PGT)을 투여하자 객담 분비가 완화되었고 투여 용량이 늘어날수록 더욱 완화
되었습니다.

특히 편강탕 785mg/kg을 투여한 집단의 객담 분비 완화 수준은 덱사메타손(스테로이드
제제)을 투여한 그룹보다 더 높았습니다.

SCOPUS급 학술지 NPS 25호, 2019

SCOPUS급 국제학술지
NPS에 논문 발표

#JTCM    #국제학술지    #폐섬유화증완화    #편강한의원    #편강탕    #서효석원장    #JTCM    #국제학술지    #폐섬유화증완화    #편강한의원    #편강탕    #서효석원장   
close

편강탕(환),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유발 완화

―――   SCOPUS급 국제학술지 NPS 25호 (2019) 발표

<연구팀>편강한의원 서효석 대표원장, 충남대 의대 이충재 교수, 삼육대 이현재 교수
-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고, 염증에 의해 기도가 좁아지는 질환
- SCOPUS:
SCOPUS는 국제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로 과학 기술 분야에서 가치가 높게 평가된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학술지들의 논문이 등재된 데이터베이스다. NPS(한국생약학회)는 SCOPUS에 엄선된 국제적인 학술지이다.

논문 다운로드

NPS(Natural Product Sciences)에
논문을 발표한 의미는?

지난 2016년 10월, SCI급 국제학술지 JTCM에 이어
2019년 6월, SCOPUS급 국제학술지 NPS에 편강탕(환)의 한약재 추출물(PGT)이
폐질환에 미치는 긍정적인 성과를 주제로 PGT가 COPD를 포함한
폐질환과 피부 질환, 호흡기 질환을 치료하는 데 잠재적 치료 약재로 쓰일 수 있다고 시사했습니다.

한약재 추출물(PGT), COPD 염증을
낮출 수 있을까?

편강탕으로 쓰이는 한약재 추출물 PGT가 COPD(만성폐쇄성폐질환)에 나타나는 항염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습니다. 실험에 사용된 PGT는 인동덩굴, 맥문동, 잔대, 도꼬마리,
바위손, 지황 등 총 6가지 약재로 각종 폐질환 및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 그리고 천식과 비염
등의 호흡기 질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한방제재 추출물입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편강탕이 과학적으로 잠재적 폐질환 치료 약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편강탕 추출물(PGT)이
폐질환에 미치는 영향

연구팀은 실험에 사용된 쥐(rat) 모델 30마리를 총 3주간(주 5일, 하루 3시간)
CSE(담배연기 추출물)와 대표적인 대기 오염물질 SO2(이산화황)에 노출시켰습니다.
①정상 쥐 집단, ②CSE+SO2 주입 집단 ③CSE+SO2와 PGT 157mg/kg 주입 집단
④CSE+SO2와 PGT 314mg/kg 주입 집단 ⑤CSE+SO2와 PGT 785mg/kg 주입 집단
⑥CSE+SO2와 Dexamethasone(스테로이드) 주입 집단 등 총 6개 그룹으로 나누었고,
그 결과 PGT를 단계별로 증량해 주입시킨 ③, ④, ⑤번 집단에서 뮤신의 양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비록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은 아니었지만 PGT가 COPD의 주요 병리학적 특징인
‘뮤신의 과분비’를 조절하고 중증 폐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잠재적 치료 약재로
쓰일 수 있다고 평가할 수 있었습니다.

- 뮤신: 점액성 물질에 관여하는 유전자

빠른상담신청하기